안와골절이 생기는 이유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이 끝난 후 포스팅을 한다. 16강 진출이라는 감동적인 결과와 함께 우리나라는 브라질을 상대로 아쉽게 패배하였지만 우리나라 국민들에게는 인상 깊었으며 행복했던 월드컵이었다. 우리나라 주장인 손흥민은 월드컵 시작 전 11월 초 프리미엄 리그 조별 경기에서 안와골절을 부상당했다. 안와골절이 생소하실 분들을 위해 포스팅을 한다. 안와골절은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겪는 골절이다. 먼저 안와라는 부위는 쉽게 말해서 눈알이 위치하고 있는 전체를 안와라고하며 얼굴뼈에서 눈이 들어갈 자리를 안와골이라고 한다. 안와골절이 발생하는 이유는 어느 뼈 골절과 마찬가지로 안와골 골절도 외부 충격에 의해 골절이 발생하게 되는데 안와의 직접적인 골절 혹은 상악골에 충격이 가도 안와골절이 생기기도 한다. 상악골은 위턱뼈라고도 하는 턱뼈 위에 있는 한 쌍의 뼈이다. 안와골절이 튀어나와 있는 코뼈 골절만큼 흔하게 일어나는 이유는 안와를 구성하고 있는 안와 안쪽의 뼈가 종이처럼 정말 얇다. 예를 들어 어떠한 충격으로 인해 눈과 부딪혔는데 눈알을 싸고 있는 안와의 뼈가 아주 단단하다면 이 충격은 고스란히 눈알에만 집중이 되기 때문에 이때에는 안타깝게도 안구가 파열될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안와를 구성하고 있는 내벽은 상당히 얇기 때문에 눈 알에 가해지는 충격이 왔을 때 뼈가 깨짐으로써 안구의 손상을 최소화하게끔 해주기 때문에 안와골절이 다반사라고 발생하는 것이다.
증상과 수술의 유무
일반적오르 안와골절이 생기면 생기는 특징이 있다. 코피가 나거나 치아를 봤을 때 겹쳐 보인다거나 눈알을 움직였을 때 극심한 통증, 다친 쪽이 함몰되어 있거나 혹은 한쪽 눈이 외관상 작아 보이며 이러한 증상들은 안와골절이 생긴 거고 초기에 있을 수 있다. 정확한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병원에서 엑스레이 촬영 혹은 영상학적 진단을 하며 최근에는 CT촬영으로 정확한 진단을 하고 있다. 진단 후 안와골절은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고 안 하는 경우도 있는데 병원에서 우선적으로 얼마큼 골절이 되었고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확인하다. 예를 들어 골절이 있다고 해도 환자가 느끼는 중상이 미미하거나 골절로 인해 예상되는 후유증이나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을 것 같으면 굳이 수술을 권유하지는 않는다. 수술을 하는 경우에는 안구함몰이 과하게 생길 것으로 예상이 된다거나 눈을 움직였을 때 불편함을 느끼거나 감각적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수술을 권유한다. 이때 감각적 이상이 있는 곳은 앞 뺨 쪽의 감각을 의미하고 이상이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수술하는 방법
여러가지 수술방법이 있는데 안와의 어느 부분이 깨졌는지에 따라서 방법의 차이가 있다. 가장 많이 깨지는 부분은 안와의 하벽이다. 하벽은 안와골의 바닥 부위를 뜻하고 그다음 부위는 내벽이다. 바닥 뼈가 깨진 경우에는 눈의 겉 부분 혹은 결막을 통해 절개를 하고 들어가서 깨진 부위를 다른 수술 재료로 메꿔주고 내벽 또한 마찬가지이다. 깨진 부위를 복원하고 메꿔주는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이 질환의 환자들에게는 꼭 중요한 주의사항이 있다. 코피가 나거나 붓기 때문에 숨쉬기가 힘들어져서 어쩔 수 없이 코를 푸는 분들이 계시는데 코를 풀게 되면 비강의 구조가 안와 쪽으로 연결이 되기 때문에 골절이 있는 경우에는 코를 풀면 공기가 안와 쪽으로 역류하는 경우가 있어서 코를 푸는 것은 자제해야 하고 수술 후에도 일정기간에는 안에 넣어 논 것들이 어긋날 수 있기 때문에 코를 풀면 안 된다. 마취할 때에는 전신마취를 하게 되면 환자의 몸 상태도 좀 무리가 있을 수 있고 입원도 일주일 가까이해야 하는 부수적인 조건이 따라가는데 수면마취로 수술 1시간이면 충분하고 회복 또한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코를 풀면 안에 넣는 것이 어긋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때 안에 넣는 것은 예전에는 티타늄 금속판이나 금속 나사를 넣었다. 장점으로는 튼튼하지만 단점으로는 이물이 계속 남아있고 계속 안고 가야 한다. 그래서 요즘에는 흡수성 재질로 된 재료를 많이 사용하고 이 재료는 1년 정도 지나면 자연스럽게 녹아서 없어지고 환자가 가지고 있는 조직을 채취해서 보다 견고하고 보완적으로 같이 이용하는 재료를 많이 사용한다. 수술 후 회복기간으로는 당일 입원 당일 수술만큼 간단하고 일상생활 또한 2~3일 이후에는 충분히 가능한 수술이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풍이 생기는 이유와 치료법 (0) | 2022.12.09 |
---|---|
발바닥 통증의 질환은 족저근막염 (0) | 2022.12.08 |
터널증후군의 증상과 자가진단법 및 안좋은 습관 (0) | 2022.12.07 |
무릎연골연화증의 증상과 진행단계 및 치료법 (0) | 2022.12.07 |
척추분리증의 종류와 꼭 알아야 할 6가지 상식 (0) | 2022.12.05 |